linux17 AWS EC2에서 마리아디비(MariaDB) 설치하기 AWS에서는 MariaDB 공식 홈페이지에 나온 방법으로 MariaDB 설치가 되지 않는다. MariaDB 패키지 목록을 확인해 보면, "mariadb105-server"로 시작하는 패키지가 존재하며, 이것을 설치하면 된다.뒤의 105 라는 숫자는 MariaDB 10.5 버전을 의미한다.$ yum list | grep -i mariadb*mariadb-connector-c.x86_64 3.1.13-1.amzn2023.0.3 amazonlinuxmariadb-connector-c-config.noarch 3.1.13-1.amzn2023.0.3.. 2024. 10. 7. kubernetes에서 PVC 삭제(그리고 생성)가 안될 때 쿠버네티스(kubernetes)에서 PVC를 삭제할 때 멈춰 있는 경우가 있다. PVC가 "Terminating" 상태에서 멈춘 이유는 대개 PVC와 연결된 리소스(Pod 또는 Finalizer)가 삭제되지 않았기 때문이고, Finalizer를 삭제하고 Pod를 삭제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참고로 앞으로 이 글에 등장하는 ""와 ""는 각자 사용하는 PVC의 이름으로 바꾸면 된다. PVC 삭제$ kubectl delete pvc persistentvolumeclaim "" deleted 분명히 deleted라고 나오긴 하지만 실제로 kubectl get pvc 명령어로 확인하면 남아있고, 저 상태로 끝나지 않고 계속 실행 중이다. 이럴 때는 SSH 창을 추가로 열고, 상태를 확인해 보면 STATU.. 2024. 9. 13. 리눅스에서 시간(타임존) 설정하기 리눅스에서 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timedatectl 명령어를 사용한다. timedatectl 명령어를 옵션 없이 사용하면, 로컬 시간과 유니버설 시간, RTC 시간, 타임존 등 시간 설정값을 확인할 수 있다.$ timedatectl Local time: Mon 2024-08-19 00:05:05 UTC Universal time: Mon 2024-08-19 00:05:05 UTC RTC time: Mon 2024-08-19 00:05:05 Time zone: UTC (UTC, +0000)System clock synchronized: yes NTP service: active .. 2024. 8. 19. 리눅스 명령어 man 검색 시 나타나는 괄호의 숫자 의미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명령어 사용법을 검색할 때가 종종 있다.그럴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man"이라는 것을 사용하게 되며 자세한 설명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crontab에 대해 확인할 경우,man crontab 아래와 같이 명령어에 대한 설명과 옵션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설명에서 보면 명령어들 뒤에 괄호와 숫자가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제일 첫 줄에는 CRONTAB(1), 하단에는 crontab(5)로 되어 있다. 이 명령어 괄호와 숫자의 의미는 무엇일까? 이 숫자의 의미는 man 페이지의 명령어 섹션 분류이다. ( https://linux.die.net/man/)각 숫자 별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사용자 명령어2: 시스템 콜3: 라이브러리 함수4.. 2024. 8. 1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