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리눅스

리눅스 명령어 man 검색 시 나타나는 괄호의 숫자 의미

by 라떼야가자 2024. 8. 13.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명령어 사용법을 검색할 때가 종종 있다.

그럴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man"이라는 것을 사용하게 되며 자세한 설명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crontab에 대해 확인할 경우,

man crontab

 

아래와 같이 명령어에 대한 설명과 옵션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설명에서 보면 명령어들 뒤에 괄호와 숫자가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제일 첫 줄에는 CRONTAB(1), 하단에는 crontab(5)로 되어 있다.

 

 

이 명령어 괄호와 숫자의 의미는 무엇일까?

 

이 숫자의 의미는 man 페이지의 명령어 섹션 분류이다. ( https://linux.die.net/man/)

각 숫자 별 의미는 다음과 같다.

 

  • 1: 사용자 명령어
  • 2: 시스템 콜
  • 3: 라이브러리 함수
  • 4: 특수 파일
  • 5: 파일 포맷
  • 6: 게임
  • 7: 관습과 잡다한 것
  • 8: 관리 및 권한 있는 명령어
  • L: 수학 라이브러리 함수
  • N: tcl 함수

 

이렇게 볼 때, 위의 man crontab에서 나온 CRONTAB(1)은 명령어의 설명이고, crontab(5)는 크론탭 작성 시의 파일 포맷을 설명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이제 crontab 명령어 사용 시 명령어 옵션과 파일 포맷을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두 카테고리의 crontab 명령어를 각각 확인하면 된다.

 

man 1 crontab

 

man 5 crontab

 

 

 

 

이와 같이 모든 명령어에는 숫자가 붙어 있다.

예)

  • bash(1)
  • shutdown(2)
  • passwd(5)
  • crond(8)

 

"man" 명령어를 이용하여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순하게 "man 명령어" 보다는 "man 숫자 명령어"처럼 사용하는 것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