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1

리눅스 명령어 man 검색 시 나타나는 괄호의 숫자 의미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명령어 사용법을 검색할 때가 종종 있다.그럴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man"이라는 것을 사용하게 되며 자세한 설명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crontab에 대해 확인할 경우,man crontab 아래와 같이 명령어에 대한 설명과 옵션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설명에서 보면 명령어들 뒤에 괄호와 숫자가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제일 첫 줄에는 CRONTAB(1), 하단에는 crontab(5)로 되어 있다.  이 명령어 괄호와 숫자의 의미는 무엇일까? 이 숫자의 의미는 man 페이지의 명령어 섹션 분류이다. ( https://linux.die.net/man/)각 숫자 별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사용자 명령어2: 시스템 콜3: 라이브러리 함수4.. 2024. 8. 13.
yum groupinstall (dnf group install) 이란? 가끔 리눅스에서 이것저것 설치를 하다 보면, `yum groupinstall -y "Development Tools"` 과 같은 명령어를 볼 수 있다. "Deveopment Tools"라는 것은 미리 정의된 패키지들을 그룹화한 것이고, 이런 group 들은 리눅스 배포판 패키지 관리자나 커뮤니티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글에서 패키지 그룹의 명령어 사용법과 사용자가 정의한 커스텀 그룹의 사용법에 대한 것을 설명한다. `yum groupinstall` 명령어는 `yum`의 최신 버전에서는 더 이상 권장되지 않고, 대신 `dnf` 패키지 관리자로 대체되었다. `dnf`는 `yum`의 후속 버전으로, 더 나은 성능과 확장성을 제공하며, `dnf`를 사용하여 소프트웨.. 2024. 8. 8.
셸 스크립트를 바이너리 실행파일로 만들기 Rocky Linux에서 shc(Shell Script Compiler)를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shc는 쉘 스크립트를 컴파일하여 바이너리 실행파일로 변환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참고 사이트- https://linux.die.net/man/1/shc- https://github.com/neurobin/shc- https://rhel.pkgs.org/8/epel-x86_64/shc-4.0.3-1.el8.x86_64.rpm.html- https://neurobin.org/projects/softwares/unix/shc/ 1. 필수 패키지 설치먼저, shc를 빌드하기 위해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한다.sudo dnf install -y gcc make 2. shc 다운로드 및 빌드shc 소스 코드 다운로드c.. 2024. 8. 7.
Java 여러 버전 설치, 관리하기 (update-alternatives) 리눅스에서 톰캣과 같은 WAS를 사용하거나 스프링(Spring) 등 자바로 설치한 프로그램을 배포할 때, 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자바와 개발에 사용한 자바의 버전이 다른 경우가 있다. 이때, 필요한 자바 버전을 따로 설치하고 JAVA_HOME 변수와 PATH를 지정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조금 더 시스템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인 update-alternatives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번 예제에서는 JDK1.8이 설치되어 있는 리눅스에 JDK17을 설치하여 설정하는 순서로 진행한다. 1. OpenJDK 17 설치$ sudo yum install java-17-openjdk-devel 2. 현재 자바 버전 확인위에서 OpenJDK 17을 설치했지만 java -version 결과는 아직 1.. 2024. 8. 4.